애플페이 국민카드 등록 방법부터 혜택 비교
애플페이 국민카드 등록 방법부터 혜택 비교
목차

애플페이 국민카드 서비스 도입, 등록 방법과 사용처 정리
애플페이가 현대카드에 이어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까지 확대되면서 국내 간편결제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KB국민카드는 2025년 2월 말에서 3월 초 애플페이 서비스를 공식 도입할 예정이다. 이번 글에서는 KB국민카드 애플페이의 등록 방법, 사용 가능 매장, 혜택 비교, 결제 한도 및 수수료 등에 대해 정리하고 현대카드, 신한카드와 비교해본다.
애플페이 국민카드 등록 방법
KB국민카드의 애플페이 등록 절차는 기존 현대카드와 유사하게 진행될 예정이다.
- 지갑 앱 실행: 아이폰 기본 앱인 ‘지갑’을 열고 우측 상단의 [+] 버튼을 선택
- 카드 추가: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 옵션에서 KB국민카드 선택
- 정보 입력: 카드 번호, 유효기간, CVC 코드 등을 직접 입력하거나 카메라로 스캔
- 본인 인증: 국민카드 앱 또는 문자(SMS)로 전송된 OTP 코드 입력 후 본인 인증 완료
- 카드 활성화: 인증 후 약 5분 내 애플페이 등록 완료, 아이폰에서 사용 가능
애플페이 국민카드 사용 가능 매장
애플페이는 NFC(근거리 무선통신) 기반 결제 방식으로, NFC 단말기가 있는 매장에서만 결제가 가능하다. KB국민카드는 현대카드와 동일한 가맹점에서 애플페이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테고리 | 사용 가능 매장 |
---|---|
편의점 | GS25, CU,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이마트24 |
백화점/쇼핑몰 | 현대백화점,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갤러리아, 코스트코 |
카페/외식 |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맥도날드, 도미노피자, 배달의민족 |
생활/가전 | 다이소, 이케아, 롯데하이마트, 무신사, 올리브영 |
온라인 쇼핑 | 티몬, 롯데ON, GS SHOP, 현대홈쇼핑, 신한카드몰 |
국민카드 애플페이 혜택 비교
국민카드 애플페이는 2030세대를 겨냥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현대카드와 신한카드의 애플페이 혜택과 비교해보면 차별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구분 | KB국민카드 | 현대카드 | 신한카드(예상) |
---|---|---|---|
스타벅스 할인 | 최대 60% (청구할인 + 추가 할인) | X | 10% 생활 밀착형 할인 |
패스트푸드 할인 | 20% (월 5천원 한도) | 1~3% M포인트 적립 | 미공개 |
애플 제품 캐시백 | 8% (최대 10만원) | X | 미공개 |
교통/통신비 할인 | 10% 청구할인 | X | 일부 카드 혜택 포함 예상 |
연회비 | 무실적 카드 다수 | 2천원~15만원 | 무실적 옵션 예상 |
특화 기능 | KB Pay 연동, 생활요금 캐시백 | 해외결제 강점 | 프리미엄 서비스 |
국민카드는 청년층 맞춤 혜택을 중심으로 차별화를 꾀하는 반면, 현대카드는 해외결제 기능이 강점이고, 신한카드는 프리미엄 서비스를 강조할 가능성이 높다.
애플페이 사용 가능한 국민카드 추천
KB국민카드 애플페이 서비스 도입 초기에는 신용카드만 등록 가능할 가능성이 크며, 체크카드는 2025년 하반기 이후 단계적으로 지원될 예정이다.
카드명 | 주요 혜택 | 추천 대상 |
---|---|---|
청춘대로 톡톡카드 | 스타벅스 50% 할인 + 간편결제 10% 추가 할인 | 커피 및 외식 자주 이용하는 소비자 |
WE:SH Travel 카드 | 해외 결제 3% 캐시백, 공항 라운지 이용 | 해외 여행 및 출장 많은 고객 |
알파원카드 | NFC 교통카드 연동(2025년 하반기 예정), 가맹점 자동 전환 기능 | 삼성페이 대신 애플페이를 메인으로 쓰는 사용자 |
노리2 체크카드 | KB Pay 결제 시 5% 적립, 커피/편의점 10% 할인 | 체크카드 선호 소비자 |
특히, 청춘대로 톡톡카드는 애플페이를 활용한 스타벅스 및 간편결제 할인 혜택이 강력해 가장 추천할 만하다.
애플페이 국민카드 결제 한도 및 수수료
애플페이 결제 한도와 수수료는 아직 공식 발표되지 않았지만, 업계 분석을 통해 예상할 수 있다.
- 결제 한도: 기존 KB국민카드의 신용카드 한도와 동일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높음
- 수수료:
- 카드사 부담: 애플 측에 결제액의 0.15% 수수료를 지급해야 함
- 소비자 부담: 현재까지 소비자가 직접 부담하는 수수료는 없을 것으로 예상됨
- 간접 영향: 카드사의 수수료 부담 증가로 장기적으로 카드 혜택이 축소될 가능성 있음
KB국민카드 애플페이 도입에 따른 전망
KB국민카드가 애플페이를 도입하게 된 주요 배경은 2030세대 신규 고객 확보 및 해외 시장 경쟁력 강화다. 현대카드가 애플페이 도입 후 150만 신규 고객을 유치하며 시장점유율을 3%p 상승시킨 것이 KB국민카드의 애플페이 도입에 중요한 계기가 됐다.
- 교통카드 기능 추가: 삼성페이와 차별화를 위해 2025년 하반기에 NFC 기반 교통카드 기능 추가 검토 중
- NFC 결제 보급률 문제: 국내 NFC 단말기 보급률이 63%로 삼성페이(99%) 대비 낮음 → 가맹점 확대 필요
- 혜택 조정 가능성: 애플 수수료 부담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카드사 혜택이 줄어들 가능성 있음
애플페이를 지원하는 KB국민카드가 늘어나면서 국내 애플 사용자들에게 보다 편리한 결제 옵션이 제공될 전망이다. 하지만 출시 초기에는 신용카드만 지원될 가능성이 높으며, 혜택 변화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