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페이에 현대카드 외 다른 카드 등록할 수 있을까
애플페이에 현대카드 외 다른 카드 등록할 수 있을까
목차

애플페이 다른 카드 등록 가능할까?
애플페이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현대카드만 지원하고 있지만, 다른 카드사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많은 사용자가 애플페이에 다양한 카드를 등록하고 싶어 하지만, 아직 제한이 있는 상황입니다. 이 글에서는 애플페이에서 다른 카드를 등록할 수 있는지, 지원 카드 종류, 결제 방식, 카드 등록 문제 해결 방법 등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애플페이에 다른 카드 등록 가능한가?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현대카드만 애플페이에 등록 가능합니다. 2023년 3월 21일부터 현대카드가 국내에서 애플페이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현재까지는 다른 카드사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향후 전망
- 신한카드: 애플페이 연동을 확정했다는 보도가 있음
- KB국민카드, 우리카드(비씨카드): 애플페이 도입 검토 중
아직 다른 카드사의 정확한 지원 일정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의 움직임을 고려하면 점진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애플페이에서 사용 가능한 카드 종류
현재 애플페이에 등록할 수 있는 현대카드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원 카드사
- 현대카드
지원 카드 유형
카드 종류 | 지원 여부 |
---|---|
신용카드 | ✅ 가능 |
체크카드 | ✅ 가능 |
선불카드 | ✅ 가능 |
법인카드 | ✅ 일부 가능 (일부 법인카드 제한) |
가족카드 | ✅ 가능 |
지원 카드 브랜드
- VISA, MasterCard, AMEX (국제 브랜드)
- 국내 전용 카드 (일부 지원)
모든 현대카드가 지원되는 것은 아니므로, 사용 전 등록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애플페이에 여러 개의 카드 등록하면 어떻게 결제될까?
애플페이에서는 최대 16개 카드까지 등록 가능하며, 여러 개의 카드를 등록할 경우 결제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황 | 결제 방식 |
---|---|
기본 카드 설정됨 | 기본 카드로 자동 결제 |
여러 카드 등록됨 | 결제 시 선택 가능 |
지갑 앱 사용 | 원하는 카드 선택 후 Face ID 또는 Touch ID 인증 |
결제 방식
- 아이폰 측면 버튼을 두 번 클릭하면 등록된 카드 목록이 나타남
- 원하는 카드를 선택 후 Face ID, Touch ID 인증
- 결제 단말기에 기기를 가까이 대면 결제 완료
자주 사용하는 카드를 기본 카드로 설정해 두면 빠르게 결제할 수 있습니다.
애플페이에 국내 카드 등록이 안 될 때 해결 방법
국내 카드 등록이 안 될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지역 설정 변경
- 설정 → 일반 → 언어 및 지역
- 대한민국에서 미국으로 변경 후 카드 등록 시도
- 등록 완료 후 다시 대한민국으로 변경
2. 기기 재시작 및 시스템 업데이트
-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 등 기기를 재시작
- iOS 최신 버전 업데이트
3. 카드 등록 재시도
- 기존 등록된 카드 삭제 후 애플페이 재설정
- 새로운 카드 등록
4. 네트워크 및 보안 확인
- 애플페이 지원 카드인지 확인
- Face ID, Touch ID 설정 활성화
- Wi-Fi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 상태 확인
위 방법을 시도해도 등록이 안 될 경우, 카드사 고객센터 또는 애플 고객지원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해결책입니다.
요약 정리
- 현재 애플페이는 현대카드만 등록 가능하며, 다른 카드사는 지원되지 않음
-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법인카드 등 일부 현대카드만 애플페이에 추가 가능
- 여러 개의 카드 등록 가능하며, 기본 카드 설정 또는 결제 시 직접 선택 가능
- 국내 카드 등록이 안 될 경우 지역 설정 변경, 기기 재시작, 시스템 업데이트 등의 방법을 활용
- 신한카드, KB국민카드, 우리카드 등의 카드사가 애플페이 도입을 검토 중이며, 향후 지원 확장 가능성 있음
애플페이의 국내 카드 지원이 점점 확대될 가능성이 크므로, 공식 발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