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 시술을 계획 중이라면 시술비 지원을 받기 위해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결정통지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결정통지서 발급 및 신청 조건
목차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2. 방문 신청
- 본인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절차
- 정부24 또는 보건소에서 지원 신청서 제출
- 보건소에서 신청자의 지원 자격 확인 후 통지서 발급
- 지정된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시술 진행
- 시술 후 1개월 이내에 비용 청구 및 서류 제출
- 보건소에서 지급 검토 후 지원금 지급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대상과 조건
지원 대상
- 서울시 거주 난임부부 (법적 혼인 또는 사실혼 관계 인정)
-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자 (부부 중 최소 1인)
- 부부 모두 건강보험 가입자
신청 조건
- 난임시술 필요 의사의 난임진단서 제출 필수
-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및 가족관계증명서 제출
- 난임시술 당사자(여성)만 신청 가능하며, 배우자 동의 필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금액과 지원 범위
시술 유형 | 지원금액 (1회당 최대) | 출산당 지원 횟수 |
---|---|---|
체외수정 (신선배아) | 110만 원 | 25회 |
체외수정 (동결배아) | 50만 원 | 25회 |
인공수정 | 30만 원 | 25회 |
지원 범위
- 시술비 중 일부 및 본인 부담금 90%
- 비급여 3종 및 약제비 지원
- 건강보험 급여 적용 초과 시 일부 본인 부담금 지원
난임 시술비 추가 부담 여부
지원금 초과 시 추가 비용 발생 가능성
- 건강보험 미적용 난임시술 시, 시술비 증가 가능
- 건강보험 급여 적용 횟수를 초과할 경우 본인 부담 증가
- 일부 비급여 항목(예: 추가 검진비, 특정 약제비)은 지원 대상 아님
비용 항목 | 지원 가능 여부 | 비고 |
---|---|---|
시술비 본인 부담금 (급여 적용) | O | 90% 지원 |
시술비 본인 부담금 (비급여) | △ | 일부 지원 |
건강보험 적용 초과 비용 | △ | 일부 부담 |
추가 난임 검사 및 약제비 | X | 지원 대상 아님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결정통지서 발급 후 유의사항
- 발급 후 3개월 내 시술 시작 필수, 이후 자동 소멸
- 통지서 발급 이후 발생한 시술비만 지원 가능
- 임신낭 확인된 시술 종료일까지 발생한 비용만 지원
난임 시술을 고려하는 부부라면 사전에 지원 기준 및 신청 절차를 정확히 파악하여,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고 기한 내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