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는 수급자의 연령과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지급 기간이 달라집니다. 아래 표는 연령과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른 지급 기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실업급여 기간 지급 조건 신청 절차 연장 방법
목차

실업급여 지급 기간과 연령별 차이
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고용보험 가입기간과 연령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연령과 가입기간에 따라 최대 120일부터 270일까지 받을 수 있으며, 아래 표를 참고하여 본인의 상황에 맞는 지급 기간을 확인하세요.
지급 기간 비교표
연령 구분 | 1년 미만 | 1~3년 미만 | 3~5년 미만 | 5~10년 미만 | 10년 이상 |
---|---|---|---|---|---|
50세 미만 | 120일 | 150일 | 180일 | 210일 | 240일 |
50세 이상/장애인 | 120일 | 180일 | 210일 | 240일 | 270일 |
실업급여 수급 조건과 제한 사유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피보험기간과 이직 사유에 따라 수급 자격이 결정됩니다. 아래는 주요 요건과 제한 사유를 비교한 표입니다.
실업급여 수급 조건 및 제한 사유
구분 | 조건 | 제한 사유 |
---|---|---|
피보험기간 | 18개월 내 180일 이상 (일반 근로자 기준) | 본인의 중대한 귀책사유로 인한 해고 |
퇴사 사유 | 비자발적 퇴사 | 정당한 사유 없는 자발적 퇴사 |
구직 활동 | 재취업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 | 장기간 무단결근 등 규칙 위반 |
특별 인정 사유 | 임금 체불, 최저임금 미달, 직장 내 괴롭힘 등 | 해당 사항 없음 |
실업급여 신청 절차와 준비 서류
실업급여 신청은 퇴사 후 즉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청 과정은 단계별로 나뉘며, 준비 서류가 필요합니다. 아래 절차와 서류를 확인하세요.
신청 절차 요약
- 이직확인서 처리: 고용센터로 제출 여부 확인
- 구직 등록: 고용24 웹사이트에서 구직 신청
- 수급자격 신청자 교육: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교육 이수
- 고용센터 방문: 거주지 관할 센터에서 수급자격 인정 신청
필수 준비 서류
필수 서류 | 추가 서류 |
---|---|
신분증 (주민등록증 등) | 수급자격인정신청서 |
본인 명의 통장 사본 | 재취업활동계획서 |
이직확인서 | 구직신청서 |
실업급여 연장 조건과 최대 지급 활용법
실업급여는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연장 받을 수 있습니다. 개별연장급여와 특별연장급여를 통해 추가 지급이 가능합니다.
연장급여 비교표
구분 | 개별연장급여 | 특별연장급여 |
---|---|---|
대상 | 부양가족 존재, 기준 이하 소득 | 실업률 및 구직자 비율 초과 |
추가 지급 기간 | 최대 60일 | 최대 60일 |
지급 금액 | 기존 금액의 70% | 기존 금액의 70% |
적극적인 구직 활동과 정해진 기간 내 신청은 실업급여를 최대한 활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